날짜를 나타내는 올바른 맞춤법 표현은?
날짜를 세는 표현이 알쏭달쏭 헷갈리는데요.
오늘 딱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내일은 순 우리말?
내일은 올래(來) + 날일(日)로 구성된 본래 한자어로 순우리말은 아닙니다.
앞으로 올 날을 의미하고, 오늘이 지나면 오는 미래의 날을 의미합니다.
오늘로부터 1일 뒤를 의미합니다.
오늘내일은? 내일모레는?
오늘과 모레는 순우리말이지만, 내일과 합쳐졌기 때문에 순 우리말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오늘내일은 오늘이나 내일 사이에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내일모레는 내일의 다음날 혹은 가까운 시기를 일컫는 의미를 담고있습니다.
▼ 사흘 나흘이 헷갈리신다면 아래 글도 확인해보세요 ▼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헷갈리는 날짜 상식(순우리말 날짜) 총정리!
순우리말 날짜 세기 올바른 맞춤법은? 우리나라 방식으로 날짜를 세는 것이 알쏭달쏭 헷갈리는데요. 오늘 딱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하루, 이틀부터 순우리말로 날짜 세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
hangeul.ziguem.com
모레 내일모레는 언제?
모레는 내일의 다음날, 오늘로부터 2일 후를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내일모레와 모레는 같은 의미(=내일의 다음날)로 사용되기도 하는데요.
이외에도 내일모레는 멀지 않은 가까운 날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내일모레의 준말로 낼모레를 사용합니다.
낼모레도 표준어라는 사실!
참고로 모레가 내일모레에서 준말이 되어 모레로 통용되다가 굳어진 것이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모레 = 내일모레 = 낼모레!!!

글피
글피는 모레의 다음날, 즉 오늘을 기준으로 3일 뒤를 일컫는 순우리말입니다.
그글피
그글피는 글피의 다음날을 일컫는 순우리말입니다.
오늘을 기준으로 보면 4일 후, 내일로부터는 3일 후, 모레로부터는 2일 뒤, 글피로부터 1일 지난 날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제 그저께
그제는 그저께와 같은 말로 쓰이는데요.
오늘로부터 2일 전, 어제로부터 하루 전날을 일컫는 순우리말입니다.
아래에서 살펴볼 그끄저께의 다음날을 말합니다.
그끄제 그끄저께
그끄저께의 준말이 그끄제로, 오늘로부터 3일 전날을 의미합니다.
그제(=그저께)의 전날이 그끄제(=그끄저께)입니다.
그그저께는 그끄저께의 방언인데요.
강원, 경기, 경상, 전라, 충북, 평안,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등에서 사용됩니다.
엊그제 엊그저께 어제그저께
이 세가지는 모두 같은 의미를 지닌 말인데요.
어제그저께의 준말이 엊그저께, 엊그제로, 오늘로부터 2~3일 전날을 의미합니다.
그제나 그끄저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두루뭉술하게 바로 며칠 전을 뜻합니다.
여전히 헷갈리실 수 있어요!
그래서 아래에 요약한 내용을 준비했습니다.
반복해서 여러번 보시고 익혀보시길 바라요 :)

▼ 날짜 표현 한 줄 요약 ▼
날짜 표현 | 오늘로부터 | 기준일: 9월 1일 |
그끄제 = 그끄저께 | 3일 전 | 8/29 |
그제 = 그저께 | 2일 전 | 8/30 |
어제 | 1일 전 | 8/31 |
오늘 | 0일 = 기준점! | 9/1 |
내일 | 1일 뒤 | 9/2 |
모레 (= 내일모레 = 낼모레) |
2일 후 | 9/3 |
글피 | 3일 후 | 9/4 |
그글피 | 4일 후 | 9/5 |
엊그제 = 엊그저께 = 어제그저께 | 두루뭉술하게 며칠 전(2~3일 전) | 8/29~30 |
오늘내일 = 내일모레 | 두리뭉실하게 가까운 시기 안 | 9/1 이후의 날짜 중 가까운 시일 내 |

<함께 보면 좋은 글>
보름 십오야 그믐 등 헷갈리는 날짜 상식(순우리말 날짜) 총정리!
순우리말 날짜 세기 올바른 맞춤법은? 우리나라 방식으로 날짜를 세는 것이 알쏭달쏭 헷갈리는데요. 오늘 딱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보름 십오야? 보름은 15일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위 사전
hangeul.ziguem.com
금새 금세 바른 표현은?
"금새 금세" 올바른 맞춤법 오늘의 주제는 "금새 vs 금세"입니다. 우리가 표기하려고 했지만, 헷갈린 단어는 ‘지금 바로’의 뜻으로 쓰이는 부사입니다. ‘금시에’가 줄어든 말이므로 '금새'가
hangeul.ziguem.com
어떻게 어떡해 차이 / 어떡해 어떻게 구분 헷갈리는 맞춤법 정리!
"어떻게 어떡해" 올바른 맞춤법 오늘의 주제는 "어떻게 vs 어떡해"입니다. 발음이 비슷해서 더 혼동하기 쉬운데요. "어떡해와 어떻게"은 모두 사용이 가능한 표기인데요! 그렇다면 어떠한 상황에
hangeul.ziguem.com
아내의 오빠, 아내의 언니, 아내의 오빠의 아내, 아내의 언니의 남편, 아내의 여동생, 아내의 남
가족호칭 정리 3탄: 처가 호칭 내가 결혼을 하게 된다면, 또 다른 가족이 생기게 되죠. 그리고 그 새로운 가족들이 이미 다른 가정을 이룬 상황들도 있습니다. 때문에 아내의 오빠나 아내의 언니,
hangeul.ziguem.com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헷갈리는 날짜 상식(순우리말 날짜) 총정리!
순우리말 날짜 세기 올바른 맞춤법은? 우리나라 방식으로 날짜를 세는 것이 알쏭달쏭 헷갈리는데요. 오늘 딱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하루, 이틀부터 순우리말로 날짜 세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
hangeul.ziguem.com
* 모도리 순우리말 = 모든 일을 아주 야무지게 하는 사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