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헷갈리는 날짜 상식(순우리말 날짜) 총정리!

by 맞는 말 2023. 9. 16.

순우리말 날짜 세기 올바른 맞춤법은?

우리나라 방식으로 날짜를 세는 것이 알쏭달쏭 헷갈리는데요.

오늘 딱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순우리말순우리말 날짜
 

하루, 이틀부터 순우리말로 날짜 세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하루를 헷갈리는 경우는 거의 없는데요.

1일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정확하게는 새벽 12시(자정)부터 다음 날 새벽 12시(자정)까지의 24시간을 의미합니다.

하루
출처: 다음국어사전 하루

 

이틀 2틀?

이틀
출처: 다음국어사전 이틀

이틀은 2일을 뜻하는 순우리말입니다. 

'이틀'은 그 자체로 하나의 단어(고유어)이기 때문에, '이'와 '틀' 부분으로 나눌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만을 아라비아 숫자로 쓰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또한 순우리말에는 숫자 2를 넣어 표기하지 않으므로 2틀은 틀린 표현입니다.

참고로, 중세국어에서 현재의 어형으로 변경될 때, "중세의 숫자 + 흘"의 구성이 적용되었는데요.
따라서 이+흘이 이틀로 되었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가장 헷갈리는 사흘 나흘!

사흘은 3일의 순우리말인데요.

현대 국어 ‘사흘’의 옛말인 '사알(사ㅇㆍㄹ cf.아래아 = ㆍ)'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납니다.
이 단어는 16세기부터 현재의 어형인 ‘사흘’로 나타나는데요.
이틀과 마찬가지로, 원래 ‘ㅎ’이 없다가 ‘ㅎ’이 첨가된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ᄒᆞᆯ이 붙게 되고, 근대 국어 시기 ‘ㆍ’의 음가 변동으로 ‘ㆍ’는 ‘ㅡ’로 바뀌며 사흘이 되었습니다.

흘은 숫자 4와 같은 발음을 가지고 있어서 4일로 착각하기 쉬운데요.

하지만, 사흘은 3일이라는 것! 기억하세요.

 

사흘나흘나흗날
출처: 다음국어사전 사흘 나흘

 

나흘은 4일의 순우리말입니다.

현대 국어 ‘나흘’의 옛말인 '나알(나ㅇㆍㄹ cf. 아래아 표기 = ㆍ)'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납니다.
이 단어는 16세기부터 현재의 어형인 ‘나흘’로 나타나는데요.
이틀과 마찬가지로, 원래 ‘ㅎ’이 없다가 ‘ㅎ’이 첨가된 것으로 보입니다.
결국 +ᄒᆞᆯ이 붙게 되고, 17세기 즉, 근대 국어 시기에 ‘ㆍ’의 음가 변동으로 ‘ㆍ’는 ‘ㅡ’로 바뀌며 나흘이 되었습니다.

유사하게 나흗날이라는 표현도 있는데요.

19세기 문헌에서 나흔날로, 20세기에 나흗날로 변화하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숫자 4와 유사하게 생긴 나흘이 4일이라는 것! 기억하세요.

 

 

 

5일 = 닷새

닷새는 5일을 일컫는 순우리말로 다섯번째날을 의미합니다.

닷새엿새
출처: 다음국어사전 닷새, 엿새

 

6일 = 엿새

엿새는 6일을 일컫는 순우리말로 여섯번째날을 의미합니다.

 

7일 = 이레

이레는 일곱번째 날을 일컫는 순우리말입니다.

이레초이레초열흘
출처: 다음국어사전 이레, 초이레, 초열흘

매달 초하룻날부터 헤아려 일곱째 되는날을 초이레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이때는 일주일과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참고로, 달력의 1~10일에는 접두사 '초'를 붙이는데요. 이에 따라 초하루, 초이틀 ··· 초열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태어난 날짜를 세는 때에도 이레를 사용합니다.

아이가 태어난지 7일째 되는 날 = 한이레, 첫이레 = 초칠일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아이가 태어난지 2주째 되는 날 = 두이레, 이칠일
아이가 태어난지 3주째 되는 날 = 세이레, 삼칠일

한이레첫이레두이레

 

세이레삼칠일이칠일
출처: 다음국어사전 중 한이레 첫이레 두이레 세이레 / (*초칠일 이칠일 삼칠일은 순우리말 아님)

 

 

8일 = 여드레 / 9일 = 아흐레 / 10일 = 열흘

비교적 앞의 숫자들에 비해 자주 사용되는 단어는 아니지만, 생소할 수 있는데요.

8일은 여드레, 9일은 아흐레, 10일은 열흘이 순우리말입니다.

여드레아흐레열흘
출처: 다음국어사전 여드레 아흐레 열흘

 

11일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앞에 '열'을 붙여서 사용합니다.

즉, 11일은 열하루, 12일은 열이틀, 13일은 열나흘, 14일은 열사흘, 15일은 열닷새, 16일은 열엿새, 17일을 열이레, 18일은 열여드레, 19일은 열아흐레가 되는 것이죠.

 

우리 모두 오늘부터 예쁜 순 우리말로 숫자 세기를 해보는 건 어떨까요?

▼ 순우리말 날짜 세기! 한 줄 요약 ▼

1일 하루, 2일 이틀, 3일 사흘, 4일 나흘, 5일 닷새, 6일 엿새, 7일 이레, 8일 여드레, 9일 아흐레, 10일 열흘

 

<함께 보면 좋은 글>

보름, 십오야, 그믐 등 헷갈리는 날짜 상식(순우리말 날짜) 총정리!

 

결재와 결제 차이 / 결제와 결재 구분! 상황에 따른 올바른 맞춤법은?

결재 결제 / 결제 결재 올바른 맞춤법은? 아래를 보고 무엇이 올바른 표기인지 바로 알아보시겠나요? 헷갈리신다면 아래의 알쏭달쏭 표현 "결재와 결제 구분하는 방법" 오늘 딱 정리해드리겠습

hangeul.ziguem.com

 

왠만하면 웬만하면 쉽게 구분하는 맞춤법 총정리!

"왠 vs 웬" 맞춤법 올바르게 쓰기 얼마 전 한글날이었죠? 맞춤법은 헷갈리는 것들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올바르게 쓰는 법 알려드리겠습니다. 오늘의 주제 "왠 vs 웬"의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hangeul.ziguem.com

 

찌개 찌게? 배개 베개? 헷갈리는 개 게 총정리!

찌개 찌게 / 배개 베게 올바른 맞춤법은? 아래를 보고 무엇이 올바른 표기인지 바로 알아보시겠나요? 헷갈리신다면 아래의 알쏭달쏭 표현 "개와 게 구분하는 방법" 오늘 딱 정리해드리겠습니다!

hangeul.ziguem.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