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외래어 표기법 올바른 맞춤법은?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쓰는 외래어들, 막상 글로 쓰려면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카페 메뉴판, 회사 문서, 심지어 뉴스 기사에서도 틀리게 쓰이는 경우가 흔하죠.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외래어 중에는 발음대로, 또는 예전 일본식 표기를 그대로 따라 쓰다가 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자주 틀리는 외래어를 카테고리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알쏭달쏭 헷갈리는 표현 " 스케쥴 스케줄, 쥬스 주스 분 / 자켓 재킷, 캐비넷 캐비닛 레포트 리포트 차이"
오늘 딱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정리하면, 대부분 틀리는 이유는
- 영어 발음 그대로가 아니라 일본식 표기를 받아들인 경우 (예: 악세사리 → 액세서리)
- 영어 철자와 달리 발음을 한글로 왜곡한 경우 (예: 스케쥴 → 스케줄)
- 받침 규칙에 맞게 바뀐 경우 (예: 로보트 → 로봇)
일상에서 흔한 단어
- ❌ 스케쥴 → ✅ 스케줄
- ❌ 쥬스 → ✅ 주스
- ❌ 수퍼마켓 → ✅ 슈퍼마켓
- ❌ 매니아 → ✅ 마니아
- ❌ 카톨릭 → ✅ 가톨릭
- ❌ 가디건 → ✅ 카디건
👉 발음이 비슷해도 쥬 → 주, 수퍼 → 슈퍼로 정리하는 게 원칙입니다.
패션·소비
- ❌ 자켓 → ✅ 재킷
- ❌ 점퍼 → ✅ (잠바는 일본식, 표준은 ‘점퍼’)
- ❌ 비스켓 → ✅ 비스킷
- ❌ 타겟 → ✅ 타깃
- ❌ 보넷 → ✅ 보닛
- ❌ 캐비넷 → ✅ 캐비닛
- ❌ 악세사리 → ✅ 액세서리
👉 특히 ‘악세사리’, ‘자켓’은 직장 문서에서도 자주 틀립니다.
음식·외식
- ❌ 케챱 → ✅ 케첩
- ❌ 까페 → ✅ 카페
- ❌ 쵸콜릿 → ✅ 초콜릿
- ❌ 바베큐 → ✅ 바비큐
- ❌ 랍스터 → ✅ 로브스터
- ❌ 쉬림프 → ✅ 슈림프
- ❌ 밀크쉐이크 → ✅ 밀크셰이크
- ❌ 요거트 → ✅ 요구르트
👉 일본식 표기(쵸콜릿, 까페 등)는 이제 모두 표준어에서 제외됐습니다.
IT·디지털 용어
- ❌ 컨텐츠 → ✅ 콘텐츠
- ❌ 컨셉트 → ✅ 콘셉트
- ❌ 컨택트렌즈 → ✅ 콘택트렌즈
- ❌ 컴마 → ✅ 콤마
- ❌ 컴플렉스 → ✅ 콤플렉스
- ❌ 컨테스트 → ✅ 콘테스트
- ❌ 콘소시엄 → ✅ 컨소시엄
- ❌ 콤파스 → ✅ 컴파스
- ❌ 콘디션 → ✅ 컨디션
👉 ‘con-’은 대부분 컨으로, com-은 컴이나 콤으로 구분합니다.
의학·학술 용어
- ❌ 기브스 → ✅ 깁스
- ❌ 앰블란스 → ✅ 앰뷸런스
- ❌ 알러지 → ✅ 알레르기
- ❌ 엔돌핀 → ✅ 엔도르핀
- ❌ 라이센스 → ✅ 라이선스
- ❌ 다이나믹 → ✅ 다이내믹
👉 의학·학술 용어는 원어 발음을 따라 엄밀히 표기합니다.
문화·기타
- ❌ 로보트 → ✅ 로봇
- ❌ 로케트 → ✅ 로켓
- ❌ 스카웃 → ✅ 스카우트
- ❌ 플래쉬 → ✅ 플래시
- ❌ 아젠다 → ✅ 어젠다
- ❌ 컨닝 → ✅ 커닝
- ❌ 런닝셔츠 → ✅ 러닝셔츠
- ❌ 앙케이트 → ✅ 앙케트
- ❌ 레포트 → ✅ 리포트
- ❌ 나레이션 → ✅ 내레이션
- ❌ 레크레이션 → ✅ 레크리에이션
- ❌ 센치미터 → ✅ 센티미터
- ❌ 맘모스 → ✅ 매머드
- ❌ 판넬 → ✅ 패널
- ❌ 헐리웃 → ✅ 할리우드
- ❌ 스폰지 → ✅ 스펀지
- ❌ 미스테리 → ✅ 미스터리
- ❌ 렌트카 → ✅ 렌터카
- ❌ 렌탈 → ✅ 렌털
- ❌ 스프링쿨러 → ✅ 스프링클러
- ❌ 플랜카드 → ✅ 플래카드
- ❌ 펌 → ✅ 파마
- ❌ 팜플렛 → ✅ 팸플릿
- ❌ 알콜 → ✅ 알코올
- ❌ 앙콜/앵콜 → ✅ 앙코르
👉 예전 영화 자막이나 팸플릿 등에서 쓰이던 표기가 아직도 남아 틀리기 쉽습니다.
헷갈리는 외래어 표기 정리표
잘못된 표기(X) | 올바른 표기(✅) | 사유 |
스케쥴 | 스케줄 ✅ | ju → 주, ju를 ‘쥬’로 적지 않음 |
쥬스 | 주스 ✅ | ‘juice’ → ju는 주 |
수퍼마켓 | 슈퍼마켓 ✅ | ‘super’는 슈퍼 |
shirt | 셔츠, 샤쓰 ✅ | 영어 ‘shirt’, 표준어는 둘모두 사 |
매니아 | 마니아 ✅ | ‘mania’, ma → 마 |
카톨릭 | 가톨릭 ✅ | ‘Catholic’ → c 발음은 가 |
가디건 | 카디건 ✅ | ‘cardigan’ → 카 |
팬더 | 판다 ✅ | ‘panda’ → 판다 |
쿵푸 | 쿵후 ✅ | 중국어 kungfu → 쿵후 |
컴플렉스 | 콤플렉스 ✅ | complex → 콤플렉스 (c=ㅋ, o 발음) |
컨테스트 | 콘테스트 ✅ | contest → 콘테스트 |
컨텐츠 | 콘텐츠 ✅ | contents → 콘텐츠 |
컨셉트 | 콘셉트 ✅ | concept → 콘셉트 |
컨택트렌즈 | 콘택트렌즈 ✅ | contact → 콘택트 |
컴마 | 콤마 ✅ | comma → 콤마 |
콘소시엄 | 컨소시엄 ✅ | consortium → ‘con’은 컨 |
콤파스 | 컴파스 ✅ | compass → ‘com’은 컴 |
콘디션 | 컨디션 ✅ | condition → ‘con’은 컨 |
넌센스 | 난센스 ✅ | nonsense → n은 난으로 적음 |
로보트 | 로봇 ✅ | robot → 받침은 ㅅ |
기브스 | 깁스 ✅ | 독일어 gips → 깁스 |
카페트 | 카펫 ✅ | carpet → 카펫 |
로케트 | 로켓 ✅ | rocket → 로켓 |
스카웃 | 스카우트 ✅ | scout → 스카우트 |
랍스터 | 로브스터 ✅ | lobster → 로브스터 |
쉬림프 | 슈림프 ✅ | shrimp → 슈림프 |
밀크쉐이크 | 밀크셰이크 ✅ | shake → 셰이크 |
플래쉬 | 플래시 ✅ | flash → 플래시 |
아젠다 | 어젠다 ✅ | agenda → 어젠다 |
뱃지 | 배지 ✅ | badge → 배지 |
컨닝 | 커닝 ✅ | cunning → 커닝 |
런닝셔츠 | 러닝셔츠 ✅ | running → 러닝 |
앙케이트 | 앙케트 ✅ | enquête(불어) → 앙케트 |
레크레이션 | 레크리에이션 ✅ | recreation → 레크리에이션 |
센치미터 | 센티미터 ✅ | centimeter → 센티 |
맘모스 | 매머드 ✅ | mammoth → 매머드 |
바베큐 | 바비큐 ✅ | barbecue → 바비큐 |
자켓 | 재킷 ✅ | jacket → 재킷 |
비스켓 | 비스킷 ✅ | biscuit → 비스킷 |
타겟 | 타깃 ✅ | target → 타깃 |
보넷 | 보닛 ✅ | bonnet → 보닛 |
캐비넷 | 캐비닛 ✅ | cabinet → 캐비닛 |
레포트 | 리포트 ✅ | report → 리포트 |
나레이션 | 내레이션 ✅ | narration → 내레이션 |
악세사리 | 액세서리 ✅ | accessory → 액세서리 |
다이나믹 | 다이내믹 ✅ | dynamic → 다이내믹 |
판넬 | 패널 ✅ | panel → 패널 |
헐리웃 | 할리우드 ✅ | Hollywood → 할리우드 |
스폰지 | 스펀지 ✅ | sponge → 스펀지 |
미스테리 | 미스터리 ✅ | mystery → 미스터리 |
라이센스 | 라이선스 ✅ | license → 라이선스 |
렌트카 | 렌터카 ✅ | rent-a-car → 렌터카 |
렌탈 | 렌털 ✅ | rental → 렌털 |
알러지 | 알레르기 ✅ | allergy → 알레르기 |
스프링쿨러 | 스프링클러 ✅ | sprinkler → 스프링클러 |
앰블란스, 앰블런스 | 앰뷸런스 ✅ | ambulance → 앰뷸런스 |
요거트 | 요구르트 ✅ | yoghurt → 요구르트 |
플랜카드 | 플래카드 ✅ | placard → 플래카드 |
펌 | 파마 ✅ | permanent → 파마 |
팜플렛 | 팸플릿 ✅ | pamphlet → 팸플릿 |
알콜 | 알코올 ✅ | alcohol → 알코올 |
앙콜, 앵콜 | 앙코르 ✅ | encore → 앙코르 |
엔돌핀 | 엔도르핀 ✅ | endorphin → 엔도르핀 |
레인보우 | 레인보 ✅ | rainbow → 레인보 |
스노우 | 스노 ✅ | snow → 스노 |
옐로우 | 옐로 ✅ | yellow → 옐로 |
윈도우 | 윈도 ✅ | window → 윈도 |
케챱 | 케첩 ✅ | ketchup → 케첩 |
매들리 | 메들리 ✅ | medley → 메들리 |
까페 | 카페 ✅ | café → 카페 |
쵸콜릿 | 초콜릿 ✅ | chocolate → 초콜릿 |
👉 정리하면, 대부분 틀리는 이유는
영어 발음 그대로가 아니라 일본식 표기를 받아들인 경우 (예: 악세사리 → 액세서리)
영어 철자와 달리 발음을 한글로 왜곡한 경우 (예: 스케쥴 → 스케줄)
받침 규칙에 맞게 바뀐 경우 (예: 로보트 → 로봇)
외래어 표기법은 단순히 발음을 옮기는 게 아니라 한글 맞춤법 규칙과 국립국어원의 표기 원칙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 헷갈릴 때는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 용례 검색을 활용하세요.
이제는 안헷갈리는 맞춤법 문제!
1. 오늘 스케줄 스케쥴 어떻게 돼?
2. 계란 위에 케찹 케첩 추가해줄까?
정답 풀이
위의 문제를 풀기 전 그냥 스크롤을 내리셨다면?
아래 사전의 정의를 한 번 다시 살펴보시고,
정답 확인 전에 문제를 꼭 풀어보세요!

1. 스케줄
2. 케첩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어떻게 어떡해 차이 / 어떡해 어떻게 구분 헷갈리는 맞춤법 정리!
"어떻게 어떡해" 올바른 맞춤법 오늘의 주제는 "어떻게 vs 어떡해"입니다. 발음이 비슷해서 더 혼동하기 쉬운데요. "어떡해와 어떻게"은 모두 사용이 가능한 표기인데요! 그렇다면 어떠한 상황에
hangeul.ziguem.com
내일 모레 글피 그글피 그저께 엊그제 뜻 헷갈리는 맞춤법 총정리!
날짜를 나타내는 올바른 맞춤법 표현은? 날짜를 세는 표현이 알쏭달쏭 헷갈리는데요. 오늘 딱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내일은 순 우리말? 내일은 올래(來) + 날일(日)로 구성된 본래 한자어로 순우
hangeul.ziguem.com
몇일 며칠 맞춤법 총정리해드립니다.
"몇일 vs 며칠" 맞춤법 올바르게 쓰기 오늘의 주제 "몇일 vs 며칠"입니다. 며칠은 명사로, 그달의 몇째 되는 날을 의미합니다. 반면, 몇일은 며칠의 잘못된 표기로 틀린 말이자 없는 표현입니다. 왜
hangeul.ziguem.com
남편의 누나, 남편의 형, 남편의 여동생, 남편의 누나의 남편, 남편의 남동생 등 시가 호칭 총정
가족호칭 정리 2탄: 시가 호칭 내가 결혼을 하게 된다면, 또 다른 가족이 생기게 되죠. 그리고 그 새로운 가족들이 이미 다른 가정을 이룬 상황들도 있습니다. 때문에 남편의 누나나 남편의 형,
hangeul.ziguem.com
금새 금세 바른 표현은?
"금새 금세" 올바른 맞춤법 오늘의 주제는 "금새 vs 금세"입니다. 우리가 표기하려고 했지만, 헷갈린 단어는 ‘지금 바로’의 뜻으로 쓰이는 부사입니다. ‘금시에’가 줄어든 말이므로 '금새'가
hangeul.ziguem.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