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이다 vs 붙히다 vs 부치다 올바른 맞춤법은?
아래를 보고나니 더 알쏭달쏭 헷갈리는 표현
'붙이다 붙히다 부치다 구별하는 법' 오늘 딱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눈을 붙이다 부치다 / 흥정을 붙이다 / 싸움을 부치다 / 쏘아 붙이다 / 갖다 붙이다 / 방을 붙이다 붙히다 /
불을 붙이다 불 부치다 / 우표를 붙이다 / 택배를 부치다 / 편지를 붙이다 편지를 부치다 / 풀로 붙이다 / 전 부치다 /
표결에 부치다 / 비밀에 부치다 / 힘에 부치다 / 밀어붙이다 밀어부치다 / 돈을 부치다
붙이다 부치다의 차이부터, 쉽게 구별하는 방법까지 총정리해드립니다.
붙이다 붙히다 구분 / 붙이다 부치다 차이 / 붙이다 부치다 붙히다 맞춤법
우선 "붙히다"라는 표현은 없습니다!
이 표기는 틀린 표현이니, 이제 사용하지 말아야겠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래에서 본격적으로 붙이다와 부치다 구분하는 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붙이다 부치다'는 모두 사용 가능한데요.
'한글 맞춤법' 제57항(다음 말들은 각각 구별하여 적는다.)에서 '부치다'와 '붙이다'의 쓰임을 자세히 구별하여 놓았습니다.
각각 아래와 같은 뜻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데요.
'붙이다'는 이러한 의미로 사용합니다!
동사 '붙다'에 "이"가 결합하여 사동사(~하게 하다)로 만든 것인데요.
기본적으로 '붙게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맞닿아 떨어지지 않게 한다'는 의미에서 파생된 아래와 같은 의미를 지닐 때는 "붙이다"를 사용합니다.
① 붙게 하다.
② 서로 맞닿게 하다.
③ 두 편의 관계를 맺게 하다.
④ 암컷과 수컷을 교합시키다.
⑤ 불이 옮아서 타게 하다.
⑥ 노름이나 싸움 따위를 어울리게 만들다.
⑦ 딸려 붙게 하다.
⑧ 습관이나 취미 등이 익어지게 하다.
⑨ 이름을 가지게 하다.
⑩ 뺨이나 볼기를 손으로 때리다.
'부치다'는 이러한 의미로 사용합니다!
부치다는 '다른 곳/다른 사람/다른 기회'로 보내거나 넘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아래와 같은 의미인 경우에 '부치다'를 사용합니다.
꽉 붙게한다는 의미의 '붙이다'와 전혀 다른 사전적 의미로 사용됩니다.
① 편지 또는 물건을 보내다.
② 원고를 인쇄에 넘기다.
③ 어떤 문제를 의논 대상으로 내놓다.
④ 논밭을 다루어서 농사를 짓다.
⑤ 번철에 기름을 바르고 누름적, 저냐 따위를 익혀 만든다.
⑥ 부채 같은 것을 흔들어서 바람을 일으키다.
⑦ 힘이 미치지 못하다.
⑧ 몸이나 식사 따위를 의탁하다.
붙이다 부치다 쉽게 구별하는 방법!
1. 딱 붙게한다는 의미의 맥락에서는 '붙이다'를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예) 풀을 붙이다.
2. 그 외의 경우는 '부치다'를, 주로 다른 데에 보내거나 넘긴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대표적인 예) 편지를 부치다.
그래도 어렵다면, 대표적인 예 두 가지만 기억하세요!
이제는 안 헷갈리는 안 않 문제!
1. 책을 소포로 붙이다 부치다 붙히다.
2. 방에 내 최애 포스터를 부치다 붙이다 붙히다.
3. 모닥불을 붙이다 붙히다 부치다.
4. 문제를 토의에 부치다 붙히다 붙이다.
정답 풀이
위의 문제를 풀기 전 그냥 스크롤을 내리셨다면?
아래 사전의 정의를 한 번 다시 살펴보시고, 정답 확인 전에 문제를 꼭 풀어보세요!

1. 책을 보낸다는 의미이므로 '부치다'가 맞습니다.
2. '떨어지지 않게 꽉 붙인다'는 의미로 '붙이다'가 정답입니다.
3. 불이 옮겨붙어 떨어지지 않게 붙인다는 의미이므로 '붙이다'가 옳은 표기입니다.
4. 어떤 문제를 의논 대상으로 내놓다는 의미의 '부치다'가 정답입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데 대 구분 / 데 대 차이 헷갈리는 맞춤법 정리!
"데 대" 올바른 맞춤법 오늘의 주제는 "-데 vs -대"입니다. "-데와 -대"는 모두 사용이 가능한 표기인데요! 그렇다면 어떠한 상황에서 쓸 수 있는 말인지, 데 대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데
hangeul.ziguem.com
돼 되 구분 / 되 돼 차이 올바른 맞춤법은?
돼 되 / 되 돼 올바른 맞춤법은? 돼 되 구분을 어떻게 하고, 되 대 차이는 무엇인지, 어느 경우에 사용하는지 알쏭달쏭 헷갈리는데요. 오늘 딱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돼다'라는 말은 없습니다. '되
hangeul.ziguem.com
에요 예요, 진~짜 쉽게 구별하는 방법!
에요 예요 어떤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에요'와 '예요'는 둘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인데요. 쉽게 풀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위의 사전을 읽고 포기하지 마세요. (여러분! 할 수 있습니다 ㅎㅎ)
hangeul.ziguem.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