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되 안돼 / 안돼 안되 / 안되다 안 되다 올바른 맞춤법은?
아래의 표기들 중 무엇이 맞는 표기인지 궁금하시죠?
안돼요 안되요 / 안돼 안되 / 안돼서 안되서 / 안됐다 안됬다 / 안돼지 안되지 / 안되다 안돼다 / 안되요 안돼요
안되요 안 되요 / 안되다 안 되다
알쏭달쏭 헷갈리는 표현 "안되 안돼"
오늘 딱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돼 되 구분 / 되 돼 차이 올바른 맞춤법은?
돼 되 / 되 돼 올바른 맞춤법은? 돼 되 구분을 어떻게 하고, 되 대 차이는 무엇인지, 어느 경우에 사용하는지 알쏭달쏭 헷갈리는데요. 오늘 딱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돼다'라는 말은 없습니다. '되
hangeul.ziguem.com
'안돼다'라는 말은 없습니다.
'안되다'라는 말이 어간인데요.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안되다는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안돼'는 언제 사용할까요?
'안돼'는 '안되다'의 어간(*위 사전 참고) '안되-'에 어미 '-어'가 결합한 구성입니다.
'안되어서'를 줄여 '안돼서'로 표기할 수 있으며,
'안되어서'와 '안돼서'는 모두 바른 표기입니다.
'안되'는 언제 사용할까요?
안되다는 "띄어쓰기"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는데요.
한 단어로 보는 경우: 안되다
'안되다' 이렇게 붙여써서 한 단어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사와 형용사로 쓰이는 것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 참고: 위 사진의 안되다 확인!)
품사 | 동사 | 형용사 |
의미 | 일, 현상, 물건 따위가 좋게 이루어지지 않다. | 근심이나 병 따위로 얼굴이 많이 상하다. |
예문 | 일이 안되니 속만 탄다. | 감기를 앓더니 얼굴이 안됐구나 |
띄어쓰는 경우: 안 되다출처: 표준국어사전 (되다)
'되다' 어간(*위 사전 의미 참고)에 부정 부사 '안'이 합쳐진 부정문으로 쓰이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되지 않다'로 대체해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편 접수가 안 되었다 = 우편 접수가 되지 않다로 바꾸어 기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제는 안헷갈리는 맞춤법 문제!
1. 공부에 집중이 안되서 / 안돼서 / 안되어서 잠깐 쉬려고 해
2. 여기서는 장사가 잘 안되니/안돼니 자리를 옮겨보면 어때?
3. 며칠 밖에 안되다 / 안 되다
4. 스무 살이 안되다 / 안 되다
정답 풀이
위의 문제를 풀기 전 그냥 스크롤을 내리셨다면?
아래 사전의 정의를 한 번 다시 살펴보시고,
정답 확인 전에 문제를 꼭 풀어보세요!

1. 안되어서를 안돼서로 줄여서 표기할 수 있으므로 안되어서와 안돼서 모두 정답입니다. '안되서'로는 표기하지 않습니다.
2. 좋게 이루어지지 않다는 의미의 동사형 안되다가 사용된 것으로, '안되니'가 맞는 표현입니다.
3. 어떤 시기에 이르다라는 의미인 '되다' 어간에 부정형 '안'이 붙은 것이므로 띄어쓰는 것이 올바른 표기입니다. 정답은 안v되다
4. 20세라는 상태에 도달하지 않았다는 의미이므로 '되다' 어간에 부정형 '안'이 붙은 안v되다가 정답입니다.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돼 되 구분 / 되 돼 차이 올바른 맞춤법은?
돼 되 / 되 돼 올바른 맞춤법은? 돼 되 구분을 어떻게 하고, 되 대 차이는 무엇인지, 어느 경우에 사용하는지 알쏭달쏭 헷갈리는데요. 오늘 딱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돼다'라는 말은 없습니다. '되
hangeul.ziguem.com
데 대 구분 / 데 대 차이 헷갈리는 맞춤법 정리!
"데 대" 올바른 맞춤법 오늘의 주제는 "-데 vs -대"입니다. "-데와 -대"는 모두 사용이 가능한 표기인데요! 그렇다면 어떠한 상황에서 쓸 수 있는 말인지, 데 대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데
hangeul.ziguem.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