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낫다 낳다 났다 낮다 낱다? 상황에 맞는 맞춤법 총정리!

by 맞는 말 2023. 2. 7.

낫다 낳다 났다 낮다 낱다 올바른 맞춤법은?

아래를 보고 무엇이 올바른 표기인지 바로 알아보시겠나요?

헷갈리신다면 아래의 알쏭달쏭 표현 "낳다 낫다 났다 낮다 낱다 구분하는 방법" 오늘 딱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병이 낫다 낮다 낳다 /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낳다 / 훨씬 낫다 났다 / 감기가 낫다 낱다 / 아기를 낳다 낫다 났다 

낫다 낳다의 차이병이 낫다 맞춤법
낳다 낫다 났다 낱다 낮다 차이

낫다 났다 낳다 낮다 낱다 구분하는 법

위의 [낟따] 5가지는 발음이 유사합니다. 그래서 더더욱 헷갈리는데요. 우선 각각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낫다

낫다 났다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동사, 형용사 낫다

ㅅ 받침으로 표기하는 '낫다'는 [낟:따]로 발음되며, 치유되어 없어지다,  질이나 수준 등에서 더 좋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낳다

낫다 낳다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동사 '낳다'

 ㅎ받침으로 표기하는 '낳다'는 [나:타]로 발음되며, 크게 보면 위의 두 가지 의미로 출산의 의미와, 실을 짠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낮다

낳다 낫다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형용사 '낮다'

ㅈ받침으로 표기하는 '낮다'는 [낟따]로 발음되며, 일정 기준에 못 미친다는 의미로 확장되면, 지면 가까이에 있다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낱다

낮다 낳다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낱다'

ㅌ받침으로 표기하는 '낱다'는 낮다의 방언이며, 표준어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났다

낳다 낫다 났다
출처: 다음국어대사전 '나다'

'났다'는 아래 동사 '나다'의 활용형으로 사용된 것입니다.

이가 안 났다, 엉덩이에 뿔이 났다 등으로 활용되며 '나다'의 의미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제는 안 헷갈리는 맞춤법 문제!

1. 이웃이 사촌보다 훨씬 낳다 낫다 낮다 낱다 났다

2. 정말 야단 났다 낫다 낳다 낮다 낱다

3. 친구가 났게 낫게 낳게 낮게 낱게 속삭였다.

4. 거위가 황금알을 났다 낫다 낳다 낮다 낱다

5. 감기가 낳다 낫다 낮다 낱다 났다

 

정답 풀이

위의 문제를 풀기 전 그냥 스크롤을 내리셨다면? 

위의 내용을 다시 한번 살펴보시고, 정답 확인 전에 문제를 꼭 풀어보세요!

 

 

1. 더 좋다는 의미이므로, 낫다 정답!

2. 터지거나 발생했다는 '나다'의 의미 활용형으로, 났다 정답!

3. 기준이 되는 소리보다 작다는 뜻이므로, 낮게 정답!

4. 알을 몸 밖으로 내놓는다는 의미이므로, 낳다 정답!

5. 상처나 병이 낫다는 의미이므로, 낫다 정답!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찌개 찌게? 배개 베개? 헷갈리는 개 게 총정리!

찌개 찌게 / 배개 베게 올바른 맞춤법은? 아래를 보고 무엇이 올바른 표기인지 바로 알아보시겠나요? 헷갈리신다면 아래의 알쏭달쏭 표현 "개와 게 구분하는 방법" 오늘 딱 정리해드리겠습니다!

hangeul.ziguem.com

 

돼 되 구분 / 되 돼 차이 올바른 맞춤법은?

돼 되 / 되 돼 올바른 맞춤법은? 돼 되 구분을 어떻게 하고, 되 대 차이는 무엇인지, 어느 경우에 사용하는지 알쏭달쏭 헷갈리는데요. 오늘 딱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돼다'라는 말은 없습니다. '되

hangeul.ziguem.com

 

데 대 구분 / 데 대 차이 헷갈리는 맞춤법 정리!

"데 대" 올바른 맞춤법 오늘의 주제는 "-데 vs -대"입니다. "-데와 -대"는 모두 사용이 가능한 표기인데요! 그렇다면 어떠한 상황에서 쓸 수 있는 말인지, 데 대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데

hangeul.ziguem.com

 

댓글